구글

큰숲백과, 나무를 보지 말고 큰 숲을 보라.

구글은 인터넷의 웹 검색 회사로 현재 인터넷의 검색 회사중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이라는 두 대학생이 창업하였으며[1] 그 이후 개발자 출신 전문 경영인 에릭 슈밋의 도움을 받아 지금처럼 성장할 수 있었다.

이름의 유래[편집 | 원본 편집]

구글(google)이라는 이름은 10의 100제곱인 수 구골에서 따온 것이다.

인터넷의 다양하고 많은 정보를 모두 담는다는 의미로 구골(GOOGOL)이라 하려 했는데 투자자가 수표에 잘못써서(..) 구글이라고 되게 되었다.

정작 제작자 본인은 만족한다고 한다.

전세계를 정복하다[편집 | 원본 편집]

초창기에는 무엇을 찾든 간에 관련 정보를 세세하게 알 수 있어서 전세계에 빠르게 전파되어 각 국가별 1위 검색 엔진의 자리를 차지했다. 그래서 아예 인터넷 정보 검색을 뜻하는 구글링이라는 단어까지 등장했을 정도

다만 러시아와 대한민국에서는 검색 엔진 1위를 완전히 차지하는데 실패했는데, 미리 내수 검색 엔진 시장을 선점한 얀덱스네이버의 아성이 강력했기 때문이다.[2] 또 경쟁자였던 야후!가 몰락하던 와중에 야후! 재팬이 독립하여 자체 검색 엔진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일본 정복 역시 실패한 모양새이다.

다만 2008년에 인수한 안드로이드유튜브가 2010년대 들어서 스마트폰 플랫폼 및 영상 제공 사이트 분야에서 압도적인 1위를 한 덕분에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와 유튜브만큼은 이들 국가에도 안착시키는 데에 성공했다.

구글 크롬 및 그 엔진 Blink의 개발사이기도 하다. 구글 크롬은 마이크로소프트인터넷 익스플로러 진영을 완전히 항복시키고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국민 브라우저였던 대한민국에서조차 구글 크롬이 인기를 얻었다. 그리고 이젠 마이크로소프트의 최신 엣지 브라우저마저 Blink 기반으로 개발된다.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에도 발을 담그고 있다. 아마존(기업)의 AWS와 마이크로소프트애저에 이어 점유율 3위이다.

알파고(인공지능)으로 최신 인공지능 기술이 충분히 인간보다 더 빠른 판단을 할 수 있음을 증명하기도 하였다. 전세계 AI 관련 논문에서 회사 직원 이름이 보이면 십중팔구 엔비디아 아니면 구글 소속이다.

각종 검색 통계[편집 | 원본 편집]

최종 업데이트 2016년 2월 17일 오후 5시~6시 경

노력[편집 | 원본 편집]

노력드립에 대해서 노력 사이에 붙는 의 수를 얼마나 써야 적절하게 검색될 수 있을까?

  • 1개 : 38만 9000개
  • 2개 : 22만 2000개
  • 3개 : 34만 4000개
  • 4개 : 15만 1000개
  • 5개 : 6만 5800개
  • 6개 : 7만 8400개
  • 7개 : 9만 6700개
  • 8개 : 11만 7000개
  • 9개 : 8만 1600개
  • 10개 : 10만 1000개
  • 11개 : 12만 9000개
  • 12개 : 8만 1200개
  • 13개 : 10만 1000개
  • 14개 : 12만 9000개
  • 15개 : 8만 1200개

보다시피 10개 이상부터는 신뢰성 있는 검색 결과가 나오지 않고 반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고로 10개 이하를 따졌을 때 가장 효율이 높은 단어는 노오력으로 38만 9000개, 그 다음은 노오오오력으로 34만 4000개이다. 노력드립을 쓸 때는 노오력이나 노오오오력을 써주자.

수저[편집 | 원본 편집]

수저드립에 대해서는 어떤 결과를 내놓을까?

  • 다이아몬드 수저 : 42만 4000개
  • 금수저 : 189만 개
  • 은수저 : 45만 9000개
  • 동수저 : 34만 4000개
  • 흙수저 : 163만 개
  • 무수저 : 72만 9000개

한국의 현실을 그대로 반영하는 검색 결과이다. 헬조선에서 주목을 받기 위해선 화끈하게 부자거나 화끈하게 가난해야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너무 부자여도 너무 가난해도 무시받는다. 그로 인해 사회 계층에서 실제로 무시받는 존재인 무수저들이 묻히는 경향을 할 수 있다. 기타 등급은 어떨까?

  • 똥수저 : 43만 1000개
  • 백금수저 : 2만 4800개
  • 핵수저 : 84만 8000개
  • 철수저 : 90만 7000개
  • 기름수저 : 62만 1000개
  • 갓수저 : 67만 개

특이하게도 핵수저에 대해 관심이 높은 것을 보아 헬조선 사람들은 북한을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키[편집 | 원본 편집]

위키들에 대해서도 궁금하여 조사하였다. 넘사벽 둘은 따로 결과만 발표하고 떼어놓는다.

  • 위키 : 10억 개+
  • 위키피디아 : 9억 1600만 개

이제 시작이다.

상당히 신뢰성이 떨어지는 검색 결과임을 알 수 있다. 헛짓했다...

TMI[편집 | 원본 편집]

초성을 검색하면 야시시한 사진만 나오냐!

- 모 사용자

  • 한때 검색 능력이 너무 좋아서 성인물 검색의 성지로 군림하기도 했다. 지금은 세이프 서치 강제 적용으로 거의 없어진 일이다.

각주

  1. 이때 인텔에서 일하던 수잔 워치스키가 빌려준 창고에서 사이트 운영 작업을 했는데 그덕분에 수잔은 나중에 구글이 인수한 유튜브의 CEO가 된다.
  2.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구글 서비스와 연동되는 스마트폰을 내놓아 점유율이 더욱 높아져서 이들 국가에서도 상위권에 든 이후에도 이 두 검색 엔진을 완전히 몰아내는 데에는 실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