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신문

큰숲백과, 나무를 보지 말고 큰 숲을 보라.


한국경제신문
[[파일: |270x320px]]
종류 일간지
판형 타블로이드배판
창간 1964년 10월 12일
언어 한국어
한국경제신문사
웹사이트 http://www.hankyung.com

한국경제신문(韓國經濟新聞, The Korea Economic Daily)은 대한민국의 한국경제신문사에서 발행되는 경제중심의 종합 일간지다. 한경으로 약칭된다. 본사 위치는 서울특별시 중구 청파로 463이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1964년 10월 12일일간경제신문(日刊經濟新聞)으로 창간되어 1965년 10월 12일 현대경제일보(現代經濟日報)로 제호가 변경되었고, 1980년 11월 26일에 현재의 한국경제신문이 되었다. 1987년 4월 한국 최초의 전자신문인 케텔(KETEL)(PC통신 하이텔의 전신)을 개발해 온라인으로 실시간 뉴스를 제공했다. 1990년 12월 한국 언론사 가운데 두 번째로 신문제작 전산시스템(CTS)을 전면 도입했다. 1997년 현재의 신사옥을 준공하였다. 미국월스트리트저널, 중국경제일보와 기사특약을 맺고 있다. 2008년 12월 1일에 한국 경제의 역동성을 상징하는 워드마크 CI도입과 함께 지면 개편이 이뤄졌다.

사시[편집 | 원본 편집]

사시는 민주시장 경제의 창달이다. 한국경제신문은 특히 다산 정약용 선생의 실사구시 정신을 계승한다는 취지에서 다산경제학상, 다산경영상, 다산기술상, 다산금융상 등을 제정해 매년 시상하고 있다.

주주[편집 | 원본 편집]

2006년 1월 기준으로 현대자동차, 삼성, LG, SK 등 194개 기업이 주주로 참여하고 있으며 한국 언론사로서는 드물게 소유와 경영이 분리돼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납입 자본금은 934억원이다.

계열사[편집 | 원본 편집]

한국경제신문사는 신문 외에 계열사를 통해 다양한 미디어 사업을 펼치고 있다. 증권과 경제전문 케이블TV방송인 한국경제TV, 인터넷 미디어인 한경닷컴, 경제 전문 주간 월간지를 발행하는 한경매거진, 경제 경영 도서를 출판하는 한경BP, 교육 관련 사업을 펼치는 에듀한경 등을 자회사로 두고 있다. 이밖에 한국경제신문 자체적으로 고교생 경제 신문인 생글생글을 발간하며 온라인 경영자 교육 사이트인 하이씨이오(hiceo)를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국가 공인 경제이해력 검증 시험인 TESAT을 주관하고 있다.

관련항목[편집 | 원본 편집]

외부 링크[편집 | 원본 편집]

각주


이 문서의 출처는 위키백과의 한국경제신문 문서의 15089608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