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
《헤럴드경제》 | |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간행주기 | 매일 |
종류 | 석간, 일간지 |
판형 | 대판(타블로이드배판) |
창간일 | 1973년 12월 |
발행법인 | (주) 헤럴드 |
발행인 | 이영만 |
편집인 | 이용만 |
웹사이트 | biz.heraldcorp.com |
헤럴드경제는 신문 발행을 중점사업으로 하는 (주)헤럴드의 경제신문이다. 전국 단위로 발행하는 경제신문 중에서는 유일하게 석간으로 발행하고 있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1973년 12월 조간 8면의 《일간 내외경제》로 창간한 뒤, 1980년 11월 24일 언론기관통폐합 조치에 따라 종간(終刊)됐다. 1989년 6월 1일 (주)코리아헤럴드내외경제신문에서 조간 16면의 《내외경제》로 복간한 뒤, 1993년 1월 석간으로 전환했다. 1996년 5월 지면을 20면으로 늘리고, 1999년 10월부터 제작을 전면 전산화했다. 같은 해 12월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했다. 2003년 《헤럴드경제》로 명칭을 변경했다.[1]
특징[편집 | 원본 편집]
일단 경제지를 표방하는 신문답게 경제적 기사를 많이 쓰기는 하나 매일경제나 한국경제와는 달리 정치 사회 기사나 스포츠 연예 기사의 비중이 상당한 편이다. 전문적인 경제지라기보다는 경제 기사의 비중이 높은 종합일간지의 성격을 띠고 있다.
석간신문이고, 종이신문부수는 얼마 없는 편이다. 오히려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는 기사들도 많은 편이다.
이명박 정권 초창기까지만 해도 한국경제 못지않은 보수색을 띤 적이 있었다. 2016년 현재는 주류 경제신문인 매일경제나 한국경제만큼 보수색을 띠지는 않으며, 정권에 비판적인 기사들도 간간히 올라오는 편. 머니투데이와 마찬가지로 웹툰을 연재하고 있으며, 연예 관련 기사도 자주 올라와 다른 경제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20~30대 독자가 많은 것과도 관련이 있어 보인다.
자매지[편집 | 원본 편집]
대한민국의 신문사 목록 |
|||||||||||||
---|---|---|---|---|---|---|---|---|---|---|---|---|---|
종이 신문/일간지 |
| ||||||||||||
온라인 신문 |
|
||||||||||||
주간지 | |||||||||||||
신문과 관련된 용어 | |||||||||||||
(夕) 석간, (無) 무가지, (EN) 영자지, |
- ↑ 위키백과:헤럴드 (기업) 문서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