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자연수 · 정수 · 실수(유리수 · 무리수) · 복소수 | → 51-100 |
17(십칠, 十七), seventeen
수학적/과학적 특성[편집 | 원본 편집]
- 9번째 홀수이며 7번째 소수이다.
- 각이 17개인 도형을 십칠각형이라고 한다. 특히 17은 페르마 소수이므로 정십칠각형은 눈금 없는 자와 컴퍼스로 작도가 가능하다.
- 17은 염소의 원자번호이다.
- 주계열표에서 17족의 원소인 플루오르, 염소, 브롬, 요오드는 1개의 원소와 공유 결합이 가능하다. 이 원소들은 같은 주기 내에서 전자친화도가 가장 높은 원소로 할로겐 원소라고도 부른다.
기타[편집 | 원본 편집]
- 대한민국에서는 만 17세에 주민등록증이 발급된다.
- 2015년 기준 대한민국의 광역 자치단체의 갯수는 17개이다. [1]
- 아파트에서 17인승 엘리베이터를 많이 사용한다. 정격 수송량은 보통 1150kg.
- 대한민국 방송심의규정에는 도수가 17도수 이상인 술은 TV광고가 금지되어 있다.
- 수능 외국어영역의 듣기는 17문항이다. 단 2014년도 수능 한정으로는 22문항이었다.
17대 국왕/국가원수 일람[편집 | 원본 편집]
등번호 17번을 사용한 프로선수[편집 | 원본 편집]
역번호 17번인 도시철도/광역철도 역[편집 | 원본 편집]
각주
- ↑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제주특별자지도, 세종특별자치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