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3 Digit Three | ||
---|---|---|
2 |
3
U+33 |
4 |
숫자 일람 | |||||||||||||||||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三, 參(갖은자)
개요[편집 | 원본 편집]
기호의 유래[편집 | 원본 편집]
역사적 의의[편집 | 원본 편집]
수학적 특성[편집 | 원본 편집]
3은 다음과 같은 수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 두 번째 소수로서, 최초의 홀수인 소수이다.
- 두 번째 삼각수이다.
- 평면상에서 도형을 만들 수 있는 최소의 변의 개수는 3이다.
- 공간상에서 한 직선상에 있지 않은 세 점을 모두 지나는 평면은 유일하게 존재한다.
- 에 대하여, 을 만족하는 비자명 정수해는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에 대해 자세히 서술하기에는 이 항목의 여백이 너무 좁다 3 더하기 3은 귀요미다.
기타[편집 | 원본 편집]
- 삼원색은 2가지 서로 다른 색의 조합으로 만들 수 없는 색을 말한다. 빛의 삼원색인 RGB 체계와 색의 삼원색[1]인 CMY 체계로 나뉘며, RGB를 합치면 백색, CMY를 합치면 흑색이 나온다.
- 변이 세 개인 도형인 삼각형은 건축에서도 자주 쓰이는 안정적인 도형이다. 특히 트러스교에 매우 많이 쓰인다.
- 한국인과 일본인은 3을 좋아한다는 말이 있다. 삼세판이라든지.
- 이 논리로 한반도를 세 개의 3으로 그리는 사람도 있다(...)
- 아닌 것도 있지만, 일명 3대 어쩌구는 일본에서 만든 것이 많은 편이다.
자매품으로 7대 어쩌구도 있지만 이건 서양산이다.
- 삼각관계는 서로가 서로를 양쪽으로 견제하는 극도의 긴장감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 1+1은 3이라는 드립이 있다. 직접 수학적으로 계산하지 마라. 드립이다.
- 주술적인 힘이 있다고 믿어지는 숫자이다. 그리스 신화를 비롯한 많은 이야기에서 숫자 3을 발견할수 있다.
3대 국왕/국가원수 일람[편집 | 원본 편집]
등번호 3번을 사용한 프로선수[편집 | 원본 편집]
각주
- ↑ 어둠의 삼원색, 물감의 삼원색, 인쇄의 삼원색 등의 표현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