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자연수 · 정수 · 실수(유리수 · 무리수) · 복소수 | → 51-100 |
20(이십, 二十), twenty
수학적/과학적 특성[편집 | 원본 편집]
- 10번째 짝수이며 22×5로 소인수분해된다. 약수의 갯수는 1,2,4,5,10,20으로 모두 6개가 있다.
- 정이십면체의 면의 갯수이자 정십이면체의 꼭지점의 갯수이다.
- 칼슘의 원소번호가 20이다.
- 핵자 이론상 2,8에 이어서 세 번째 마법수로 불린다. 칼슘 40은 이중마법수 원소.
기타[편집 | 원본 편집]
- 담배 한 갑은 20개비가 들어있다.
- 조기 한 두릅도 20마리이다.
- 화투에서 광의 끗수가 20이다.
- 많은 문화권에서 스무살을 나타내는 특정한 용어들이 많다. 방년 20살이나 일본어의 はたち가 대표적인 예.
- 고대 프랑스 지역에서는 20진법을 사용하였고 현대 프랑스에서는 그 관습이 남았고 세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10진법이 혼합되면서 10진법, 16진법, 20진법, 60진법이 뒤섞인 기괴한 숫자세기를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77은 20 셋, 10 하나, 7이라고 부른다. 0에서 16까지는 프랑스어 고유의 숫자 이름이 있고 17에서 19까지 10+7, 10+9로 부른다. 그런데 20부터 60까지는 또 한국어처럼 20+n, 50+n으로 부른다.. 70은 60+10, 77은 60+17인데 17은 프랑스어로 10+7이라서 60+10+7이 된다. 80을 넘어가면 뜬금없이 20 4개와 n으로 숫자를 세게된다. 그냥 10진법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제한적이다. 그나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는 자릿수마다의 숫자만을 읽는 방식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3569를 삼, 오, 육, 구라고 읽는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