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해 2016년 2017년 2018년 - 2019년 - 2020년 2021년 2022년 | ||||||||||||||||||||||||||||||||||||||||||||||||||||
연대 1990년대 2000년대 - 2010년대 - 2020년대 2030년대 | ||||||||||||||||||||||||||||||||||||||||||||||||||||
세기 19세기 20세기 - 21세기 - 22세기 23세기 | ||||||||||||||||||||||||||||||||||||||||||||||||||||
| ||||||||||||||||||||||||||||||||||||||||||||||||||||
|
사건[편집 | 원본 편집]
실제[편집 | 원본 편집]
1월[편집 | 원본 편집]
2월[편집 | 원본 편집]
- 2월 28일
- 부산광역시에서 씨그랜드호 광안대교 추돌 사고가 일어났다.
3월[편집 | 원본 편집]
- 3월 14일: 도봉산역 탈선 사고가 발생했다.
4월[편집 | 원본 편집]
- 4월 1일: 연예기획사 플레이엠 엔터테인먼트가 설립됐다.
- 4월 4일: 2019년 강릉-동해 산불, 2019년 고성-속초 산불이 발생했다.
- 4월 17일: 진주 가좌동 아파트 방화·살인 사건이 발생했다.
- 4월 26일: 티브로드의 주식의 대다수가 SK텔레콤으로 넘어가면서 경영권이 이전, 그 결과 티브로드의 계열사 3개가 SK브로드밴드로 흡수되었다.
5월[편집 | 원본 편집]
- 5월 1일
- 일본에서 1989년 이래 이어진 헤이세이(平成) 시대가 저물고 레이와(令和) 시대가 시작되었다.
- 5월 25일: 제주도에서 온 국민을 충격으로 몰아넣은 고유정 전 남편 살인 사건이 발생했다.
- 5월 29일: 허블레아니호 침몰 사고가 발생했다.
6월[편집 | 원본 편집]
- 6월 9일: 홍콩에서 홍콩 범죄인 인도법 반대 시위 중 대규모 시위가 시작되었다.
7월[편집 | 원본 편집]
- 7월 1일 - 일본이 한국을 반도체 부품 등의 수출 규제 예외국가인 화이트리스트 국가 목록에서 제외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에 불매운동이 시작되었다.
- 7월 18일: 교토 애니메이션 방화 사건이 발생했다.
8월[편집 | 원본 편집]
- 8월 2일 - 일본이 한국을 수출 규제 예외국가인 화이트리스트 국가 목록에서 제외했다.
- 8월 22일 - 대한민국이 수출 규제 대응으로 일본과 군사정보를 교환하는 협정인 GSOMIA 기한을 연장하지 않고 종료했다.
- 8월 24일 - 북한이 함경도 선덕에서 동해 방향으로 발사체 2발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9월[편집 | 원본 편집]
- 9월 18일 - 화성 연쇄 살인 사건의 강력한 용의자로 이춘재가 지목되었다.
- 9월 28일 - 조국 장관을 지지하고 검찰 개혁을 요구하는 시민들이 서초동 서울지방검찰청 앞에서 대규모 시위를 벌였다.
10월[편집 | 원본 편집]
- 10월 1일
- 통일부에서 돼지열병 방역을 이유로 판문점 관광을 잠정 중단했다.
- 화성 연쇄 살인 사건의 범인 이춘재가 모든 살인사건의 범죄를 시인하면서 33년의 긴 미스테리가 풀리게 되었다.
- 10월 3일 - 광화문 주변에서는 조국의 장관직 사퇴를 요구하는 대규모 집회가 열렸다.
- 10월 4일 - 아산무궁화프로축구단이 북소초등학교를 방문했다.
- 10월 5일 - 부산 해운대 그랜드호텔 컨벤션홀에서 제8회 롯데 크리에이티브 공모전이 개최되었다.
- 10월 6일 - 대전 서구 만년동의 모 고깃잡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 10월 7일 - 광주의 한 택배 집하장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 10월 9일
- 독일 동부 할레에서 반유대주의를 표방하는 청년이 유대교 회당 인근에서 총격 사건을 일으켜 2명이 사망하였다.
- "문재인 하야 범국민 투쟁본부"가 조국 장관의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를 광화문에서 열었다.
- 10월 10일 - 버닝썬 게이트 용의자인 윤구근 전 총경이 구속되었다.
- 10월 11일 - 조국이 윤석열 접대 의혹을 부인하였다.
- 10월 12일 - 가수 송하예가 신곡 새사랑을 공개하였다.
- 10월 14일 - 조국이 법무부 장관직에서 사임하였다.
- 10월 26일 - IS 최고 지도자 아부 바크르 알 바그다디가 시리아 북부 이들립에서 미군 특수부대로부터 도주하던 중 폭탄 조끼를 터뜨려 사망했다.[1][2]
11월[편집 | 원본 편집]
12월[편집 | 원본 편집]
가상[편집 | 원본 편집]
출생[편집 | 원본 편집]
실존 인물[편집 | 원본 편집]
가상 인물[편집 | 원본 편집]
사망[편집 | 원본 편집]
실존 인물[편집 | 원본 편집]
- 1월 3일: 연쇄살인마 가오청융
- 1월 5일: 패션디자이너 및 배우 하용수
- 1월 7일: 가수 진형
- 2월 19일: 디자이너 칼 라거펠트
- 3월 15일: 만화가 임웅순
- 3월 29일: 성우 시라이시 후유미
- 4월 5일: VOCALOID 프로듀서 wowaka
- 4월 8일: 한진그룹 회장 조양호
- 4월 11일: 만화가 몽키 펀치
- 4월 13일: 대한민국 치즈의 아버지 지정환
- 4월 17일: 소설가 코이케 카즈오
- 5월 13일: 가수 및 배우 도리스 데이
- 6월 10일: 김대중의 부인 이희호
- 6월 29일: 배우 전미선
- 7월 9일: 쟈니즈 사무소 대표 쟈니 키타가와
- 9월 21일: 가수 우혜미
- 10월 14일: 가수 및 배우 설리
- 10월 26일: ISIS의 최고지도자 아부 바크르 알 바그다디
- 11월 24일: 가수 구하라
- 12월 3일: 배우 차인하
- 12월 9일: 래퍼 Juice WRLD
가상 인물[편집 | 원본 편집]
- ↑ 트럼프 “IS 지도자 ‘알 바그다디’ 사망…미국 작전에 자폭”, KBS 뉴스
- ↑ 트럼프 “IS 수괴 알바그다디, 공포 속에서 마지막 순간 보냈다”, K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