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한국어 韓國語, Korean | |
---|---|
사용 국가 | |
사용 인구 | 약 7500만명 |
언어 계통 | 한국어족 한국어 |
문자 | 한글(한자도 혼용) |
상세 정보 | |
공용어로 쓰는 나라 |
|
방언 | 서북 방언 동북 방언 동남 방언 서남 방언 중부 방언 제주 방언 |
언어 부호 | |
ISO-639-1 | ko |
ISO-639-2 | kor |
ISO-639-3 | kor |
개요[편집 | 원본 편집]
한민족과 대한민국계 이민자들이 사용하는 언어. 한글로 표기한다. 본래는 한반도와 중국 일부에서만 쓰였으나 19~20세기를 거치면서 미국, 일본, 우즈베키스탄 등 다양한 지역에서 한국어가 쓰이고 있다.
한국어 사용 인구는 약 7500만명으로, 이중 50% 이상을 대한민국 국민이 차지한다.
음운[편집 | 원본 편집]
모음[편집 | 원본 편집]
단모음[편집 | 원본 편집]
표준어에서 단모음의 음소는 아래 열 가지다.
음소 | 발음 기호 | 예시 |
---|---|---|
/ㅏ/ | /a/ | /a̠gi/ 아기 |
/ㅓ/ | /ʌ̹/ | /ʌ̹ɾɯn/ 어른 |
/ㅗ/ | /o/ | /o̞ɾi/ 오리 |
/ㅜ/ | /u/ | /uju/ 우유 |
/ㅡ/ | /ɯ/ | /ɯtɯm/ 으뜸 |
/ㅣ/ | /i/ | /imi/ 이미 |
/ㅐ/ | /ɛ/ | /ɛ̝bʌ̹ɭɭe̞/ 애벌레 |
/ㅔ/ | /e/ | /e̞nʌ̹dʑi/ 에너지 |
/ㅚ/ | /ø/ | /ø̞ɡa/ 외가 |
/ㅟ/ | /y/ | /yɦʌm/ 위험 |
장모음[편집 | 원본 편집]
장모음은 단어의 첫 음절에서만 나타나며, 현재는 단모음과 장모음의 구분이 모호해진 상태이다.
단모음 | 장모음 |
---|---|
/a/ 가마(단위) /ka̠ma̠/ | /aː/ 가마(탈것) /ka̠ːma̠/ |
/ʌ/ 거리(길) /kʌ̹ɾi/ | /ʌː/ 거리(길이) /kʌ̹ːɾi/ |
/o/ 소리 /sʰo̞ɾi/ | /oː/ 소름 /sʰo̞ːɾɯm/ |
/u/ 굴(동물) /kuɭ/ | /uː/ 굴(동굴) /kuːɭ/ |
/ɯ/ 그릇 /kɯɾɯt̚/ | /ɯː/ 그림 /kɯːɾim/ |
/i/ 밀가루 /miɭɡa̠ɾu/ | /iː/ 밀다 /miːɭda̠/ |
/ɛ/ 매섭다 /mɛ̝sʰʌ̹p̚t͈a̠/ | /ɛː/ 매달다 /mɛ̝ːda̠ɭda̠/ |
/e/ 제목 /t͡ɕe̞mo̞k̚/ | /eː/ 제품 /t͡ɕe̞ːpʰum/ |
/ø/ 괴로움 /kø̞ɾo̞um/ | /øː/ 괴담 /kø̞ːda̠m/ |
/y/ 뒤집다 /tyd͡ʑip̚t͈a̠/ | /yː/ 뒤쪽 /tyːt͡ɕ͈o̞k̚/ |
이중모음[편집 | 원본 편집]
이중모음은 반모음+단모음 형태로 구성된 모음이다. 한국어에서 반모음은 /j/, /w/ 2개가 있으며, 이중모음은 11개가 있다.
단모음 | ㅏ | ㅓ | ㅗ | ㅜ | ㅡ | ㅣ | ㅐ | ㅔ | ㅚ | ㅟ |
---|---|---|---|---|---|---|---|---|---|---|
/j/ + 모음 | ㅑ | ㅕ | ㅛ | ㅠ | ㅒ | ㅖ | ||||
/w/ + 모음 | ㅘ | ㅝ | ㅢ | ㅙ | ㅞ |
자음[편집 | 원본 편집]
방언[편집 | 원본 편집]

한국어의 방언은 서북 방언, 동북 방언, 중부 방언, 서남 방언, 동남 방언, 제주 방언 6가지로 나뉜다. 제주 방언을 제외한 모든 방언은 서로 의사소통이 가능할 정도의 작은 차이를 보인다. 대한민국의 표준어는 중부 방언 중 하나인 경기 방언을 기초로 하고 있다.
제주 방언은 다른 방언과의 차이가 커 '제주어'라는 독립적인 언어로 분리되기도 한다.
어휘[편집 | 원본 편집]
한국어 어휘는 크게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세가지로 나뉜다.
고유어는 한국어 고유의 말로, 한자나 외국어로 똑같이 표현할 수 없는 단어를 말한다. 일상적으로 쓰이는 일상어는 거의 모두 고유어에 해당한다.
한자어는 중국의 한자에서 유래된 말로, 한국어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외래어는 영어, 프랑스어, 일본어 등의 외국 언어에서 유래된 말로, 최근들어 많이 쓰이고 있다.
문장 구조[편집 | 원본 편집]
한국어의 문장 구조는 주어-목적어-동사의 순서다. 일본어, 구자라트어, 터키어, 위구르어도 이와 같은 문장 구조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