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

큰숲백과, 나무를 보지 말고 큰 숲을 보라.

남자여자와 반대되는 성별을 말한다.

특징[편집 | 원본 편집]

신체적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평균적으로 여자보다 신장과 체격이 더 큰 편이다.
  • 남자는 남성호르몬의 영향으로 여자보다 근력이나 근지구력 등이 우월하다.
  • 생식기인 음경정소가 몸 밖에 달려있다.
  • 수염이 나는 등 여자보다 털이 많이 나는 편. 다만 남성 호르몬 때문에 머리가 빠지는 대머리는 남자가 압도적으로 많다.
  • 영유아 및 청소년 시절의 사망률도 여자보다 높고 평균 수명은 여자보다 짧은 편이다.
  • 평균적으로 공간지각능력이 여자보다 우위에 있는 경우가 있다. 다만 신체적 차이만큼 확연하지는 않다.

문화적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여자보다 이공계 지원률이 높다.
  • 전세계적으로 남자는 머리를 짧게 자르는 것이 불문율이다. 턱선 너머로 머리를 길러도 장발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으며, 촌스럽게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 인터넷이나 게임 등 서브컬처에서 구매력이 높은 유저들이 많다.
  • 여자보다 상대적으로 가족보다는 바깥 일에 관심이 많은 경우가 많다.

한국에서[편집 | 원본 편집]

가부장제의 영향도 있고 고위험 고소득 직종의 종사율이 높다 보니 경제력이나 사회적 지위는 여자보다 평균적으로 높다. 그에 반해서 30대 이하의 세대에서는 결혼비용을 신랑측이 더 많이 부담하는 등 경제적 부담이 여자보다 가중되는 경우가 많고, 게다가 남성 징병제 특성상 대다수가 2년의 국방의 의무를 지는 점 때문에 21세기 들어서는 여자들에 비해 사회적 비용을 더 많이 부담하는 단점도 있다. 2010년대 현재까지도 한국은 남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지우고 여자가 육아를 부담하는 경향이 더 크다. 미래에는 바뀔 수도 있지만이다.

40대 이상 세대는 여자와 비교했을 때 정치성향 차이가 많이 다르지 않으나 30대 이하 세대는 여자에 비해 진보정당 지지율이 낮고 상대적으로 보수정당에 우호적인 성향이 있다. 20대중 소수이기는 하지만 강경 보수 성향인 남자들이 있다.

인터넷에서[편집 | 원본 편집]

웹사이트마다 다르나 대개는 남초인 경우가 많다. 애초에 인터넷은 남자들이 선호하는 정치나 남성향 콘텐츠들이 많기에 남자들이 많은 남초 사이트가 대다수이다.

남초[편집 | 원본 편집]

남자가 더 많이 있는 지역이나 공간 등을 일컫는 말이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