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숲:Sudo위키/Lihe 위키/기념관

큰숲백과, 나무를 보지 말고 큰 숲을 보라.

파일:Lihe wiki logo.png

2014년

파일:2014년 8월 25일-Lihe 위키.png

2014년에 Lihe 위키는 음악, 물리학 등으로 범위를 확장하였고, 거의 모든 것을 다루는 백과사전을 표방하기 시작했습니다. 트위터 계정을 직접 운영하면서 홍보를 하기도 했으나, '지식이 필요한 사람들은 알아서 찾아오게 되어 있으니 홍보가 아니라 지식의 확보에 더욱 노력해야 한다'는 방침에 따라 홍보가 중단되었습니다.

2015년

2주년 기념사

Lihe 위키가 처음 설립된 것은 2년 전, 그러니까 2013년 5월 18일이었습니다. Lihe 위키는 IT와 관련된 문서들을 확보하여 컴덕들에게 도움이 되는 위키를 목표로 하였습니다. 이에 다양한 전자기기나 그 제반의 정보들을 문서로 만들었으며, 특히 IBM과 관련된 것들은 굉장히 열정적으로 문서화하였습니다. 즉, Lihe 위키의 첫 출발은 Lihe의 관심사에 따라 시작되었으며, 다른 거창한 목적이 있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IT 관련 문서들이 모이기 시작한 이후로 Lihe 위키에서는 음악과 관련된 문서들이 생성되기 시작했습니다. 이것 역시 설립자인 Lihe의 관심사에 따라 주도되었으며, 원래의 목적을 수정하여 더 넓은 범위를 다루기로 했습니다. 그 이후로 Lihe 위키는 IT 관련 위키라는 수식어를 버리고 거의 모든 것에 대한 사전을 표방하는 곳으로 바뀌었습니다. 철학과 수학, 물리학 등의 학문들도 다루면서 각종 잡다한 지식들이나 잊혀져 가는 역사인물, 민중가요들에 대한 문서도 생기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Lihe 위키가 어떤 지점까지 갈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말하기 어려우나, 더욱 더 많은 지식의 집약을 통해 독자들이 '내가 아닌 것'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것에 간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존재의 의의가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2

Lihe 위키의 첫 모습은 백괴사전이나 리그베다 위키에서 많은 영향을 받은 모습이었습니다. 직접적으로 그런 위키들의 문서를 베껴온 것은 아니지만, 백괴사전에서의 유머와 리그베다 위키에서의 거리감 없이 쉬운 서술은 Lihe 위키에 많은 영향을 주었습니다. 다만 확인되지 않았거나 출처가 불분명한 것들과 개인적인 해석이 지나치게 개입된 것들이 적혀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러한 부분에서는 신뢰성을 잃을 수밖에 없다는 점이 문제였습니다. 역사를 다루게 되면서 Lihe 위키는 위키백과의 영향도 받게 되었습니다. 위키백과에서는 근거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므로, 야사와 같은 서술이나 근거 없는 낭설들을 쉽게 걸러낼 수 있다는 것은 참으로 좋은 것입니다. 다만 그것은 잠정적으로 진입장벽을 만들기에, 누구나 기여할 수 있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정말로 상세하게 조사를 해서 쓰는 사람이 아니라면 배척당하기 쉽습니다. 또한 지나치게 학술적인 서술도 많기 때문에 어떤 사람이 입문을 목적으로 그런 문서를 찾아서 보다가는 흥미를 완전히 상실하거나 겁을 먹기가 쉽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결국 타 위키에서 채택하고 있는 방식들은 제각기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큰 규모의 위키일수록 그것이 명확하게 나타나는 편입니다. 이에 따라 Lihe 위키에서는 과연 어떤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지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항상 확실한 근거를 요구하지 않는 방침은 매우 개방적이기에 자유롭고 많은 사람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지만 분쟁을 유발하기 쉽고 확인되지 않은 루머들이 끼어들 수 있다는 문제가 있고, 항상 확실한 근거를 요구하는 방침은 루머의 개입을 방지할 수 있고 엄선된 정보들을 통해서 위키 전체의 신뢰도를 높이지만 쉽게 편집하거나 보태기 어렵기에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Lihe 위키에서는 이 두 가지의 방침 중에서 어떤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지, 아니면 더 좋은 방법은 없는지 하는 고민들을 계속하였습니다.

그 결과, 기본적으로는 개방적인 방향을 채택하여 사람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하며 논란이 되는 부분이나 불확실한 부분은 주기적인 확인 작업을 통해 걸러내는 것이 가장 좋다는 결론을 내게 되었습니다. 좀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확실한 부분에 대해서는 주석으로 근거들을 제시하여 논란을 방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며, 확실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관리자들이 나름대로 조사를 하면서 출처를 확인하고 삭제 여부를 판단하게 하는 것입니다.

만우절

파일:2015년 만우절.png